2025년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아파트 TOP30 은마아파트 재건축 가능성
안녕하세요, 부동산과 도시 역사에 관심 있는 여러분!
오늘은 다소 특별한 주제를 준비했습니다.
바로 2025년 8월 기준,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아파트 TOP30 입니다.
대한민국에서 아파트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62년입니다.
이후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를 겪으며, 수많은 아파트들이 건설됐죠.
하지만 2025년 현재, 일부 아파트는 건축된 지 50년이 넘은 ‘역사적’ 건축물로 남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아파트는 어디일까?
- 아파트별 건축연도, 위치, 재건축 여부는?
- 노후 아파트가 가지는 도시적, 역사적 의미는?
부동산 투자자, 도시 개발 관심자, 혹은 아파트에 대한 추억이 있는 분들에게 유익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함께 보시죠.
1. 대한민국 아파트의 역사
대한민국 최초의 아파트는 **마포아파트(1962년 준공)**입니다.
이후 1970~80년대에는 강남 개발과 함께 압구정 현대아파트, 잠실 주공아파트 등 굵직한 단지들이 들어서며 대중화되었죠.
시기 | 주요 사건 |
---|---|
1962년 | 마포아파트 준공 – 국내 최초 아파트 |
1970년대 | 강남 개발 본격화, 중산층 중심 아파트 공급 확대 |
1980년대 | 대규모 택지개발 → 대단지 아파트 등장 |
1990년대 이후 | 아파트가 ‘주거 표준’으로 자리잡음 |
2.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아파트 TOP30
(2025년 8월 기준)
순위 | 아파트명 | 위치 | 준공연도 | 세대수 | 재건축 진행 여부 |
---|---|---|---|---|---|
1 | 마포아파트 | 서울 마포구 | 1962 | 642세대 | 철거 완료 |
2 | 한남시범아파트 | 서울 용산구 | 1965 | 304세대 | 재건축 추진 중 |
3 | 압구정 현대 1차 | 서울 강남구 | 1976 | 245세대 | 재건축 인가 완료 |
4 | 잠실 주공 5단지 | 서울 송파구 | 1978 | 3,930세대 | 재건축 심의 중 |
5 | 이촌한강맨션 | 서울 용산구 | 1971 | 472세대 | 재건축 검토 중 |
6 | 청담삼익아파트 | 서울 강남구 | 1976 | 660세대 | 재건축 인가 |
7 | 여의도 시범아파트 | 서울 영등포구 | 1971 | 1,584세대 | 재건축 추진 중 |
8 | 대치 삼익 2차 | 서울 강남구 | 1978 | 462세대 | 사업시행인가 완료 |
9 | 이문동 청솔아파트 | 서울 동대문구 | 1974 | 720세대 | 재건축 추진 중 |
10 | 목동 신시가지 6단지 | 서울 양천구 | 1983 | 1,416세대 | 정밀안전진단 완료 |
11 | 광명 철산주공 7단지 | 경기 광명시 | 1980 | 1,256세대 | 재건축 진행 중 |
12 | 대구 범어맨션 | 대구 수성구 | 1975 | 312세대 | 계획 없음 |
13 | 부산 광안동 삼익 | 부산 수영구 | 1977 | 480세대 | 재건축 준비 중 |
14 | 창동 상계주공 3단지 | 서울 도봉구 | 1983 | 1,150세대 | 정밀안전진단 대기 |
15 | 서소문아파트 | 서울 중구 | 1969 | 68세대 | 문화재 등록 검토 |
16 | 노량진 사당아파트 | 서울 동작구 | 1973 | 430세대 | 재건축 논의 중 |
17 | 신림 금강아파트 | 서울 관악구 | 1976 | 388세대 | 진행 없음 |
18 | 전농동 한신아파트 | 서울 동대문구 | 1977 | 312세대 | 재건축 검토 중 |
19 | 대치 우성1차 | 서울 강남구 | 1981 | 654세대 | 사업시행 인가 |
20 | 마장동 성동맨션 | 서울 성동구 | 1975 | 112세대 | 재건축 추진 없음 |
21 | 반포 주공 1단지 | 서울 서초구 | 1973 | 2,220세대 | 재건축 착공 완료 |
22 | 서초 무지개아파트 | 서울 서초구 | 1979 | 528세대 | 재건축 추진 중 |
23 | 화곡동 우장산아파트 | 서울 강서구 | 1980 | 384세대 | 정비구역 지정 검토 |
24 | 강북 수유삼성 | 서울 강북구 | 1982 | 412세대 | 재건축 검토 중 |
25 | 분당 정자동 주공 | 경기 성남시 | 1982 | 1,152세대 | 준비 단계 |
26 | 송파 가락시영 | 서울 송파구 | 1983 | 6,500세대 | 재건축 인가 완료 |
27 | 방배 삼익 | 서울 서초구 | 1982 | 456세대 | 계획 중 |
28 | 일산 주공1단지 | 경기 고양시 | 1982 | 1,980세대 | 재건축 초기 단계 |
29 | 경희궁 아파트 | 서울 종로구 | 1977 | 220세대 | 문화재 협의 중 |
30 | 미성아파트 | 서울 서초구 | 1982 | 654세대 | 사업시행인가 완료 |
3. 재건축 진행 상황 및 현황
2025년 기준, 이들 노후 아파트의 약 80%가 재건축을 추진 중이며,
일부는 철거 또는 이주를 마친 상태입니다.
구분 | 내용 |
---|---|
재건축 인가 | 압구정 현대, 대치동 은마, 목동 6단지 등 |
재건축 추진 중 | 한남시범, 이촌동 일대, 청담동 삼익 |
철거 또는 보존 | 마포아파트(철거), 서소문아파트(문화재 추진) |
4. 오래된 아파트가 가지는 가치
오래된 아파트는 단순한 ‘노후 건축물’을 넘어 도시 변화의 상징, 주거 문화의 역사적 기록입니다.
✅ 역사적 가치
- 산업화·도시화 시대 주거 트렌드의 실증적 자료
- 근대 건축 양식과 도시계획의 변화 기록
✅ 재건축 잠재력
- 도심 주요 입지 + 대단지 → 개발 가치 상승
- 30년 이상 노후 → 안전진단, 용적률 혜택 가능
✅ 주거문화 변화 상징
- 마당 → 복도식 → 계단식 → 중대형 평면 구조의 진화
5. 서울 주요 지역별 평균 아파트 연식 비교
(2025년 8월 기준)
오래된 아파트 TOP30를 살펴보았다면, 이제는 서울 각 주요 지역에서
평균적으로 아파트가 얼마나 오래됐는지 확인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특정 단지만 오래된 게 아니라, 지역별로도 노후화 편차가 뚜렷하기 때문이죠.
지역 | 평균 준공 연도 | 평균 연식 | 노후화 특징 |
---|---|---|---|
강남구 | 2000년 | 약 25년 | 80~90년대 구축 많음, 재건축 활발 |
서초구 | 1999년 | 약 26년 | 반포·방배 일대 재건축 진행 중 |
송파구 | 2002년 | 약 23년 | 가락·잠실 중심 재건축 활기 |
강북구 | 1993년 | 약 32년 | 정비사업 소극적, 고령화 진행 중 |
양천구 | 1990년 | 약 35년 | 목동 일대 대단지 노후화 가속 |
노원구 | 1989년 | 약 36년 | 상계·중계 구축 비중 높음 |
마포구 | 2005년 | 약 20년 | 재개발·신축 비율 증가 |
용산구 | 1997년 | 약 28년 | 한남·이촌 일대 노후 단지 집중 |
관악구 | 1990년 | 약 35년 | 저층 다세대 밀집, 재개발 필요 |
참고: 위 통계는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서울열린데이터광장, KB시세 데이터 등을 종합해 추산한 수치이며, 지역 내 신축/노후 단지 혼재로 일부 편차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주요 인사이트
- **강남3구(강남·서초·송파)**는 평균 연식이 비교적 낮지만, 대규모 재건축을 앞둔 1세대 아파트 밀집지역이기도 합니다.
- 강북·노원·양천은 전반적인 노후화가 진행 중이며, 정비사업이 지연되면서 생활 인프라와 환경개선에 대한 수요가 매우 큽니다.
- 마포·용산은 도심 접근성과 입지 덕분에 노후 단지들도 재개발 기대감이 높습니다.
지금까지 2025년 8월 기준,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아파트 TOP30과 더불어,
서울 주요 지역별 아파트 평균 연식과 노후화 현황까지 살펴보았습니다.
아파트는 단순한 주거공간을 넘어, 도시 발전의 흐름과 사람들의 생활방식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오래된 아파트는 때론 불편하고 낡아 보일 수 있지만,
그 속에는 우리 사회의 축적된 시간과 가치, 그리고 개발의 가능성이 숨 쉬고 있습니다.
아파트를 바라보는 시선이 한층 더 넓어지는 계기가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