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는 한국을 대표하는 발효 음식이자, 최근에는 세계적 건강식품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시장에서는 대형 식품 기업과 전통 브랜드들이 경쟁하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4년 연간 누적 기준 김치 브랜드 점유율, 판매량, 매출 순위 TOP10을 정리했습니다.
1. 국내 김치 시장 현황 (2024년 기준)
- 국내 김치 시장 규모: 약 2조 1,000억 원
- 가정용 + 외식업용 + 수출 포함
- 2024년 김치 수출액: 약 1억 5천만 달러
- 소비자 트렌드: 위생 포장·소포장 김치, 해외 수출용 프리미엄 김치, 저염·비건 김치 수요 증가
2. 국내 김치 브랜드 점유율 TOP10 (2024년)
순위 | 브랜드명 | 점유율 (%) | 연간 판매량 (톤) | 연간 매출 (억 원) | 특징 |
---|---|---|---|---|---|
1 | 종가집 (대상FNF) | 35% | 280,000톤 | 7,300억 | 국내 1위, 수출 강세 |
2 | 비비고 (CJ제일제당) | 27% | 220,000톤 | 5,900억 | K-푸드 대표, 해외 판매 호조 |
3 | 풀무원 김치 | 10% | 80,000톤 | 2,100억 | 위생·건강 특화 |
4 | 서분례김치 | 6% | 48,000톤 | 1,250억 | 프리미엄 전통 김치 |
5 | 동원김치 | 5% | 40,000톤 | 1,050억 | 유통망 강점 |
6 | 이마트 피코크 김치 | 4% | 32,000톤 | 830억 | 대형마트 PB 브랜드 |
7 | 롯데푸드 김치 | 3.5% | 28,000톤 | 720억 | 편의점·마트 연계 |
8 | 현대그린푸드 김치 | 3% | 24,000톤 | 610억 | 급식·식자재 유통 강세 |
9 | 아워홈 김치 | 2.5% | 20,000톤 | 530억 | 외식·급식 연계 |
10 | 농협김치 | 2% | 16,000톤 | 420억 | 농산물 직거래 기반 |
👉 상위 3개 브랜드(종가집, 비비고, 풀무원)가 전체 시장의 **72%**를 차지하며, 김치 시장의 과점 구조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3. 브랜드별 특징 분석
- 종가집: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글로벌 수출 확장 → “김치 = 종가집” 이미지 확립
- 비비고: K-푸드 한류 대표주자, 미국·유럽에서 급성장
- 풀무원: 위생·건강 이미지, 젊은 층에게 인기
- 전통 프리미엄 브랜드(서분례 등): 소규모지만 충성 고객층 확보
4. 2024년 김치 시장 트렌드
- 수출 증가 – 미국·일본·유럽 프리미엄 김치 수요 확대
- 편의형 제품 확대 – 소포장·즉석 김치, 온라인 판매 강세
- 기능성 김치 – 저염·비건·프로바이오틱스 김치 등장
- PB 브랜드 성장 – 대형마트, 편의점 자체 브랜드 김치 판매량 확대
5. 국산 vs 수입 김치 점유율 (중국산 김치 대비)
국내 김치 시장은 과거 중국산 김치가 외식업체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으나,
최근에는 국산 김치 점유율이 다시 회복되고 있습니다.
연도 | 국산 김치 점유율 | 중국산 김치 점유율 | 비고 |
---|---|---|---|
2019년 | 42% | 58% | 외식업체 중심 수입 김치 강세 |
2021년 | 50% | 50% | K-푸드 수요 증가, 국산 점유율 회복 |
2023년 | 55% | 45% | 소비자 건강·위생 인식 강화 |
2024년 | 60% | 40% | 국산 김치 품질 개선 및 유통 확대 |
👉 최근에는 국산 김치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가정용 시장에서는 국산 김치 비중이 80% 이상으로 더욱 높습니다.
반면 외식업체 일부에서는 여전히 가격 경쟁력 때문에 중국산 김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6. 김치 수출국 TOP5 (2024년 기준)
2024년 국내 김치 수출액은 약 1억 5천만 달러로 집계되었으며, 주요 수출국은 미국, 일본, 홍콩, 대만, 호주 순입니다.
순위 | 국가 | 수출액 (백만 달러) | 점유율 (%) | 특징 |
---|---|---|---|---|
1 | 미국 | 55 | 36% | K-푸드 열풍, 한인 교포시장 + 현지 소비자 확산 |
2 | 일본 | 40 | 27% | 김치 문화 정착, 국산 프리미엄 김치 선호 |
3 | 홍콩 | 18 | 12% | 아시아 허브, 고급 식자재 시장 확대 |
4 | 대만 | 12 | 8% | K-드라마·한류 영향으로 소비 증가 |
5 | 호주 | 10 | 7% | 한인 교민 사회 중심, 현지인 관심 확대 |
👉 미국과 일본이 전체 수출의 63% 이상을 차지하며, 아시아권 국가(홍콩, 대만)와 신흥 시장(호주, 유럽 일부)에서도 꾸준히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 국내 김치 시장은 종가집·비비고 양강 체제 속에 프리미엄 브랜드와 PB 제품이 성장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또한, 국산 김치 점유율은 점차 확대되며, 중국산 김치 의존도는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 국산 vs 수입: 국산 김치 60% 이상 점유, 소비자 신뢰 상승
✔ 수출 시장: 미국·일본 중심, 한류 영향으로 홍콩·대만·호주까지 확산
✔ 향후 전망: 프리미엄·건강형 제품 + 글로벌 마케팅이 핵심
김치는 단순한 전통 발효 음식이 아니라,
국내 식품 산업의 미래 성장 동력이자 세계 시장에서 K-푸드 대표주자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글이 김치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