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갈피 소제목

 

글로벌 앱 순위 2025년 상반기 MAU 기준 분석 왓츠앱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 페이스북
 

글로벌 앱 순위 2025년 상반기 MAU 기준 분석 왓츠앱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 페이스북

반응형

 

오늘은 많은 분들이 관심 있어 하실 2025년 상반기 기준 글로벌 앱 순위 소식을 준비했습니다.
스마트폰 하나로 모든 걸 해결하는 시대, 어떤 앱들이 전 세계인의 ‘필수 앱’으로 자리 잡고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MAU(월간 활성 이용자 수)**를 기준으로 글로벌 앱 TOP 순위를 정리해보고,

앱별 특징과 사용자 트렌드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글로벌 앱 시장 현황 : 2025년 상반기 흐름

2025년 상반기 글로벌 앱 시장은 SNS, 메신저, 쇼핑, 영상 스트리밍, 금융 앱이 두드러지게 성장했습니다.

  • 메타(Meta)의 앱들(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은 여전히 강력한 글로벌 영향력을 유지 중입니다.
  • **틱톡(TikTok)**은 Z세대를 중심으로, 쇼트폼 트렌드를 넘어 전 연령층으로 확산되었습니다.
  • **유튜브(YouTube)**는 영상 플랫폼의 절대 강자로 MAU 30억을 돌파했습니다.
  • 알리익스프레스, 아마존, 쇼피 같은 글로벌 커머스 앱도 꾸준히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핀테크·금융 앱(PayPal, Alipay 등)은 디지털 결제 확산에 따라 전 세계 사용자 기반을 확대했습니다.

 

 

2. 2025년 상반기 글로벌 앱 순위 (MAU 기준)

순위 MAU (억 명) 전년 대비 변화
1 유튜브 (YouTube) 30.2 +5%
2 왓츠앱 (WhatsApp) 26.8 +3%
3 인스타그램 (Instagram) 25.5 +7%
4 틱톡 (TikTok) 23.7 +10%
5 페이스북 (Facebook) 22.9 -2%
6 위챗 (WeChat) 17.4 +1%
7 알리익스프레스 (AliExpress) 12.3 +8%
8 아마존 (Amazon) 11.8 +2%
9 페이팔 (PayPal) 9.6 +4%
10 트위터(X) 8.9 -1%
 
 

3. 앱별 특징 분석

유튜브 (YouTube)

  • 글로벌 영상 플랫폼 절대 강자
  • MAU 30억 돌파, 단연 1위
  • 숏폼과 롱폼 콘텐츠 동시 흡수

왓츠앱 (WhatsApp)

  • 전 세계 메신저 1위
  • 인도, 브라질, 동남아 등 신흥 시장에서 강세

인스타그램 (Instagram)

  • 쇼핑, 릴스(Reels), 광고 플랫폼으로 성장
  • 20대~30대 사용자 중심

틱톡 (TikTok)

  • Z세대 핵심 플랫폼
  • 숏폼 → 라이브커머스로 확장

페이스북 (Facebook)

  • 여전히 거대한 사용자층 보유
  • 다만 Z세대에서의 이탈 심화

 

 

4. 사용자 트렌드 분석

  • 숏폼 영상 : 틱톡,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
  • 메신저 기반 결제·쇼핑 : 왓츠앱 페이, 위챗 페이
  • 커머스 앱 성장 : 알리익스프레스, 아마존
  • 핀테크 확산 : 페이팔, 알리페이, 카카오페이(아시아 지역)

 

 

5. 2025년 글로벌 앱 시장 전망

  • AI 통합 서비스 : 챗봇, 추천 알고리즘 강화
  • 슈퍼앱(Super App) 경쟁 : 위챗, 왓츠앱, 카카오 등
  • AR/VR 기반 SNS : 메타버스와 결합된 새로운 SNS 앱 가능성
  • 핀테크와 커머스 결합 : 금융-쇼핑 통합 플랫폼 등장

 

 

6. 순위에는 들지 못했지만 눈에 띄는 앱들

2025년 상반기 글로벌 앱 순위 TOP10에는 들지 못했지만, 특정 지역이나 특정 세대에서 급성장 중인 앱들도 많습니다.
앞으로의 시장을 읽는 데 중요한 힌트가 될 수 있기에 몇 가지를 소개해드립니다.

 

1. 텔레그램 (Telegram)

  • MAU 약 6억 명 수준으로 TOP10에 들지는 못했지만, 꾸준한 성장세
  • 보안성과 익명성을 중시하는 사용자층에게 인기가 높음
  • 유럽·중동, 개발자·투자자 커뮤니티에서 활발히 사용

2. 스냅챗 (Snapchat)

  • 북미와 유럽 Z세대 중심으로 강세
  • AR 필터, 스토리 기능에서 여전히 혁신적
  • 틱톡·인스타그램에 밀려 글로벌 점유율은 낮지만, 세대별 충성도 높음

3. 디스코드 (Discord)

  • 게임 커뮤니티 플랫폼에서 출발해, 글로벌 소셜 허브로 성장
  • MAU 약 4억 명 이상
  • 음성 채팅, 커뮤니티 중심 운영이 장점
  • 2025년 들어 기업·교육 커뮤니티로 확장

4. 텐센트 비디오 / 아이치이(iQIYI)

  • 중국 내 영상 스트리밍 강자
  • 중국 로컬 시장 MAU 수억 명대
  • 글로벌 시장에는 덜 알려져 있지만, 콘텐츠 영향력 확대 중

5. 카카오톡 (KakaoTalk)

  • 글로벌 MAU 순위에서는 낮지만, 대한민국 로컬 점유율 절대 강자
  • 슈퍼앱화 전략(톡비즈, 카카오페이, 카카오T)으로 영향력 지속 확대
  •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주목할 만한 로컬 앱 사례

6. 스포티파이 (Spotify)

  • 글로벌 음악 스트리밍 시장 지배자
  • MAU 5억 명 이상
  • 북미·유럽에서 강세, 아시아 시장 확대 중

7. 줌 (Zoom)

  • 팬데믹 이후 폭발적 성장은 꺾였지만,
  • 여전히 원격 근무·교육 분야에서 안정적 수요
  • MS Teams, Google Meet와 경쟁 지속

 

분석 포인트

  • 글로벌 TOP10은 대부분 SNS·메신저·영상 플랫폼 중심
  • 하지만, 텔레그램·스냅챗·디스코드 같은 세대/니치 시장 앱은 향후 틈새 성장 가능성 높음
  • **스포티파이, 로컬 슈퍼앱(카카오톡 등)**도 특정 지역·세대에서 필수 앱 역할 수행

 

오늘은 이렇게 2025년 상반기 MAU 기준 글로벌 앱 순위를 살펴봤습니다.
한눈에 보니, 여전히 영상·SNS·메신저가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커머스와 핀테크의 성장도 무시할 수 없네요.

여러분은 요즘 어떤 앱을 가장 자주 사용하시나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