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 세계적으로 1,000만 명 이상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는 ‘초대형 채널’로 불립니다.
한국에서도 이제는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는데요,
K-콘텐츠와 K-팝의 글로벌 인기 덕분에 국내에서 활동하는 초대형 유튜브 채널들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오늘은 2025년 현재 국내 1,000만 유튜버의 수, 채널 특징, 그리고 예상 수익 구조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 국내 1,000만 유튜버 수 (2025년 기준)
국내 유튜브 데이터 분석 기관과 업계 자료에 따르면,
2025년 8월 기준으로 한국 국적 혹은 한국어 기반 채널 중 구독자 1,000만 이상 채널은 약 45개로 추정됩니다.
최근 증가 추세
- 2020년: 약 15개
- 2022년: 약 25개
- 2024년: 약 38개
- 2025년: 약 45개
매년 3~5개씩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음악·키즈·엔터테인먼트·게임 채널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2. 채널 유형별 분포
국내 1,000만 유튜버 유형별 분포 (2025) | ||
---|---|---|
채널 유형 | 채널 수 | 대표 사례 |
K-팝 공식 채널 | 12개 | BTS, BLACKPINK, JYP, HYBE |
키즈 콘텐츠 | 10개 | 보람튜브, 핑크퐁, 라리랄라 |
엔터테인먼트/예능 | 8개 | 스브스뉴스, MBCentertainment |
게임 채널 | 6개 | 도티, 잠뜰TV |
일상/먹방/브이로그 | 5개 | 쯔양, 햄지 |
교육/지식 | 4개 | 원픽영어, 과학쿠키 |
3. 채널 특징
① 글로벌 시청자 비중 높음
- K-팝 채널은 해외 구독자가 80% 이상
- 키즈 채널 역시 전 세계 아동 대상 콘텐츠로 글로벌 조회수 확보
② 지속 가능한 IP(지적재산권) 보유
- 단순 1인 크리에이터보다는 기업형 채널이 다수
- 캐릭터·노래·예능 포맷 등 2차 수익 창출 가능
③ 긴 수명 주기
- 키즈·음악 콘텐츠는 세대가 바뀌어도 꾸준히 소비
- 엔터테인먼트·게임 채널은 트렌드에 따라 급성장·급감 가능
4. 예상 수익 구조
유튜버 수익은 단순 광고 수익(AdSense) 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집니다.
수익원 | 설명 | 예상 규모 |
광고 수익 (AdSense) | CPM 단가 × 조회수 | 월 수천만 원~수억 원 |
협찬·PPL | 브랜드 제휴 콘텐츠 | 1회 5천만~수억 원 |
굿즈 판매 | 캐릭터·브랜드 상품 | 연 수십억 원 |
공연·IP 라이선스 | 콘서트, 방송 판권 | 기업형 채널에 유리 |
멤버십·후원 | 팬·구독자 후원 | 연간 수억 원 가능 |
5. 실제 예상 수익 예시
예시 1 – 키즈 채널 (구독자 1,200만 / 월 조회수 2억 뷰)
- 광고 수익: CPM 1.5달러 × 2억 뷰 = 약 30억 원/월
- 굿즈·콘텐츠 판권: 연 100억 원 이상
→ 연 수익 300억 원 이상
예시 2 – 게임 채널 (구독자 1,050만 / 월 조회수 5천만 뷰)
- 광고 수익: CPM 2달러 × 5천만 뷰 = 약 12억 원/월
- 스폰서십·라이브 방송 후원: 연 10억 원 이상
→ 연 수익 100억 원 내외
6. 국내 1,000만 유튜버의 공통 전략
- 글로벌 콘텐츠 제작 – 영어 자막·다국어 지원 필수
- IP 확장 – 캐릭터, 음악, 오프라인 공연, 굿즈
- 지속 업로드 – 주 2~3회 정기 업로드
- 팬덤 관리 – 커뮤니티, 멤버십 활성화
- 멀티 플랫폼 확장 – 틱톡·인스타·넷플릭스·OTT 동시 운영
7. 국내 1,000만 유튜버 대표 목록
국내 1,000만 유튜버 목록 정리표 (대표 채널·예시, 10M+ 추정) | |||||
---|---|---|---|---|---|
채널명 | 카테고리 | 운영 주체 | 구독자 규모 | 주요 시청권역 | 비고 |
BANGTANTV | K-POP/음악 | HYBE (BTS) | 10M+ (초대형) | 글로벌 80%+ | 공식 아티스트 채널 |
BLACKPINK | K-POP/음악 | YG | 10M+ (초대형) | 글로벌 90%+ | K-POP 최대급 채널 |
HYBE LABELS | 레이블/뮤직 | HYBE | 10M+ (초대형) | 글로벌 | 멀티 아티스트 허브 |
1theK (원더케이) | K-POP 모음 | 카카오엔터 | 10M+ (대형) | 글로벌 | MV/라이브 모음 채널 |
SMTOWN | 레이블/뮤직 | SM | 10M+ (대형) | 글로벌 | SM 아티스트 총합 |
JYP Entertainment | 레이블/뮤직 | JYP | 10M+ (대형) | 글로벌 | 레이블 공식 |
Mnet K-POP | 방송/뮤직 | 엠넷 | 10M+ (대형) | 글로벌 | 무대클립 중심 |
TWICE | K-POP/음악 | JYP | 10M+ (대형) | 글로벌 | 아티스트 공식 |
SEVENTEEN | K-POP/음악 | Pledis/HYBE | 10M+ (대형) | 글로벌 | 아티스트 공식 |
TXT (TOMORROW X TOGETHER) | K-POP/음악 | HYBE | 10M+ (대형) | 글로벌 | 아티스트 공식 |
Stray Kids | K-POP/음악 | JYP | 10M+ (대형) | 글로벌 | 아티스트 공식 |
ENHYPEN | K-POP/음악 | BELIFT LAB/HYBE | 10M+ (대형) | 글로벌 | 아티스트 공식 |
EXO | K-POP/음악 | SM | 10M+ (대형) | 글로벌 | 아티스트 공식 |
NCT | K-POP/음악 | SM | 10M+ (대형) | 글로벌 | 아티스트 공식 |
PSY | 아티스트 | 피네이션 | 10M+ (대형) | 글로벌 | 강한 해외 비중 |
Pinkfong Baby Shark | 키즈 | 더핑크퐁컴퍼니 | 10M+ (초대형) | 글로벌 | 키즈 최상위 채널 |
Boram Tube Vlog [보람튜브] | 키즈/패밀리 | 보람패밀리 | 10M+ (대형) | 글로벌 | 아동·가족 시청층 |
KBS WORLD TV | 방송/예능 | KBS | 10M+ (대형) | 글로벌 | K-예능/드라마 클립 |
MBCentertainment | 방송/예능 | MBC | 10M+ (대형) | 글로벌 | 예능 하이라이트 |
SBS Entertainment | 방송/예능 | SBS | 10M+ (대형) | 글로벌 | 예능/드라마 클립 |
JFlaMusic | 뮤지션/커버 | J.Fla | 10M+ (대형) | 글로벌 | 해외 비중 매우 높음 |
쯔양 | 먹방/엔터 | Creator | 10M+ (추정) | 한국·국제 | 롱폼+숏폼 혼합 |
8. 유튜브 예상 수익 시뮬레이션
아래 표는 RPM(1,000뷰당 실제 창출 수익) 가정치로 계산한 월 광고수익 범위 예시입니다.
- RPM은 국가/콘텐츠/길이/광고가용성/Shorts 비중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 Shorts는 보통 롱폼 대비 RPM이 낮고 변동성이 큽니다.
- 후원·스폰서·굿즈 등 비광고 수익은 별도로 보셔야 합니다.
유튜브 예상 수익 시뮬레이션 (월 기준, 광고수익 중심) | ||||||||
---|---|---|---|---|---|---|---|---|
시나리오 | 월 조회수 | 글로벌 비중 | 롱폼 비중 | Shorts 비중 | 롱폼 RPM (USD) | Shorts RPM (USD) | 계산식 | 예상 광고수익 (USD) |
K-POP 공식 | 200,000,000 | 80% | 70% | 30% | 0.8 ~ 1.8 | 0.2 ~ 0.6 | (2억×0.7×롱폼RPM/1000)+(2억×0.3×숏폼RPM/1000) | $160,000 ~ $420,000 |
키즈(믹스) | 200,000,000 | 90% | 40% | 60% | 0.4 ~ 1.0 | 0.1 ~ 0.4 | (2억×0.4×롱폼RPM/1000)+(2억×0.6×숏폼RPM/1000) | $80,000 ~ $220,000 |
예능/클립 | 50,000,000 | 70% | 60% | 40% | 1.0 ~ 3.0 | 0.2 ~ 0.7 | (5천만×0.6×롱폼RPM/1000)+(5천만×0.4×숏폼RPM/1000) | $50,000 ~ $150,000 |
게임 | 50,000,000 | 60% | 80% | 20% | 1.5 ~ 4.0 | 0.3 ~ 0.8 | (5천만×0.8×롱폼RPM/1000)+(5천만×0.2×숏폼RPM/1000) | $75,000 ~ $200,000 |
먹방/라이프 | 30,000,000 | 50% | 70% | 30% | 0.8 ~ 2.5 | 0.15 ~ 0.6 | (3천만×0.7×롱폼RPM/1000)+(3천만×0.3×숏폼RPM/1000) | $24,000 ~ $75,000 |
교육/지식 | 20,000,000 | 40% | 90% | 10% | 2.0 ~ 6.0 | 0.4 ~ 1.0 | (2천만×0.9×롱폼RPM/1000)+(2천만×0.1×숏폼RPM/1000) | $40,000 ~ $120,000 |
주: RPM은 1,000뷰당 실제 수익 추정치이며, 국가(미국·서유럽 높음/동남아 낮음), 계절성, 광고재고, 저작권·제한 설정, 재생 길이(롱폼 유리), 시청 지속시간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위 수치는 예시 범위입니다. |
수익 범위 해석 팁
- 글로벌 비중↑: 보통 RPM↑ 경향(특히 북미·서유럽).
- Shorts 비중↑: 보통 평균 RPM↓. Shorts 수익배분 구조 특성상 롱폼보다 낮게 나오는 편.
- 키즈 채널: 맞춤광고 제한 등으로 RPM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으나, 조회수가 매우 크면 총액은 큼.
- K-POP/뮤직 레이블: 뮤직비디오는 조회수는 크지만 일부 컨텐츠는 저작권·음악권리 배분 구조 영향으로 RPM이 낮게 보일 수 있음.
2025년 국내 1,000만 유튜버는 단순히 개인 크리에이터가 아니라
글로벌 미디어 기업 수준으로 운영되는 채널이 대부분입니다.
앞으로는 K-팝·키즈 중심에서 교육·지식·AI 기반 콘텐츠로 확장되며,
1,000만 유튜버 수는 2027년까지 70개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