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갈피 소제목

 

2025년 상반기 국내 제약사 매출 순위 TOP 20 분석 | 시장 동향과 주요 기업 실적 리뷰
 

2025년 상반기 국내 제약사 매출 순위 TOP 20 분석 | 시장 동향과 주요 기업 실적 리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제약바이오 산업에 관심이 많은 독자 여러분을 위해

2025년 상반기 국내 제약사들의 매출 순위와 주요 동향을 상세히 분석해드리겠습니다.

올해 상반기는 특히 주목할 만한 성과와 변화가 많았던 시기였는데요, 함께 살펴보시죠!

 

 

 

1. 2025년 상반기 제약바이오 시장 전체 개요

2025년 상반기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전반적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상위 50개 제약사들의 2025년 1분기 매출은 6조 2028억원으로 2024년 1분기 5조 9100억원보다 5% 증가했으며,

125개사의 평균 매출은 개별 기준 628억원으로 전년 576억원 대비 약 9.2% 증가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매출 성장과 함께 수익성도 크게 개선되었다는 것입니다. 평균 영업이익은 45억원에서 72억원으로 58.6% 늘었고, 125개사 중 매출액이 성장한 기업은 68개사에 달하며, 영업이익 증가 기업은 57개사로 집계되었습니다.

 

 

2. 2025년 상반기 국내 제약사 매출 순위 TOP 20

[상위 10위 제약사 매출 현황]

순위 회사명 1분기 매출액(억원) 전년 대비 증감률 주요 특징
1 삼성바이오로직스 12,983 +37.1% 4공장 가동 확대
2 셀트리온 8,419 +14.2% 바이오시밀러 강세
3 유한양행 4,915 +10.6% 전통 제약사 1위 유지
4 종근당 4,009 +10.9% 2위로 순위 상승
5 한미약품 3,909 -3.2% 순위 하락
6 GC녹십자 3,837 +7.6% 흑자 전환 성공
7 광동제약 3,776 -8.5% 5위로 순위 하락
8 대웅제약 3,565 +6.2% 안정적 성장
9 HK이노엔 2,474 +16.3% 높은 성장률
10 보령 2,405 +3.0% 1조 클럽 유지

 

[11위~20위 제약사 현황]

순위 회사명 1분기 매출액(억원) 전년 대비 증감률
11 동국제약 2,237 +13.7%
12 JW중외제약 1,852 +2.6%
13 동아에스티 1,820 +17.2%
14 제일약품 1,630 -4.3%
15 대원제약 1,578 안정적
16 SK바이오사이언스 1,545 +594%
17 휴온스 1,458 안정적
18 일동제약 1,359 -10.0%
19 한독 1,198 -6.9%
20 파마리서치 1,169 +56.5%

 

 

 

3. 주요 기업별 상세 분석

 

삼성바이오로직스 - 독보적인 1위 지위 공고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5년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2,983억원, 영업이익 4,86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7.1%, 119.9% 증가하는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성장 동력:

  • 4공장 매출 기여 증대
  • 바이오시밀러 판매 호조
  • 우호적 환율 효과

2025년 상반기에는 연결 기준 매출 2조5882억원, 영업이익 9623억원을 달성하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844억원, 영업이익은 3065억원이 각각 증가했습니다.

 

 

셀트리온 -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강자

 

셀트리온은 2025년 상반기 매출 1조8034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약 11.9% 증가했으며, 특히 수익성 개선이 두드러집니다. 합병 시점인 2023년 말 기준 63%이던 매출 원가율이 올 2분기 약 43%로 줄어들며 경영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유한양행 - 전통 제약사의 위상 유지

 

유한양행은 2025년 1분기 매출이 4445억원에서 4915억원으로 10.6% 증가하며 전통 제약사 중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습니다. 영업이익도 대폭 개선되어 5억원대에서 64억원으로 1000% 이상 증가했습니다.

 

종근당 - 순위 상승의 주역

 

종근당은 3615억원에서 4009억원으로 10.9% 대폭 증가하며 4위에서 2위로 순위를 상승시켰습니다. 이는 제품 포트폴리오 다양화와 신제품 출시 효과로 분석됩니다.

 

 

*최근 상장한 명인제약 사업실적 분석

 

4. 주목할 만한 성장 기업들

 

파마리서치 - 최고 성장률 기록

 

파마리서치가 2024년 1분기 747억원을 기록한 것 대비 2025년 1분기 1169억원으로 매출이 56.5% 증가하며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에스테틱 산업에서의 강세가 이런 성과를 이끌었습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 - 폭발적 성장

 

SK바이오사이언스는 조사대상 중에서 가장 높은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는데 회사의 이번 분기 매출액은 1545억원으로 무려 전년 동기 대비 594%가 늘어났다. 이는 회사가 작년에 인수한 독일 CDMO 기업 IDT 바이오로지카의 실적이 매출로 잡히면서 나타난 결과입니다.

 

HK이노엔 - 안정적 성장세

 

HK이노엔은 매출액이 2473억원을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 대비 16.3% 증가한 실적이다. 이들 기업은 영업이익도 253억원으로 47%가 늘어나며 외형과 수익성 모두를 챙겼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5. 시장 전체 동향 및 특징

 

양극화 현상 심화

 

실적 개선세가 이어졌지만, 적자 전환 기업은 12개사, 적자 지속 기업은 36개사에 달해 이익 구조의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는 점이 주목됩니다.

 

바이오 기업의 약진

 

2025년 상반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바이오 기업들의 눈부신 성장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이 매출 상위권을 석권하며 'K-바이오'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CDMO 시장의 성장

 

SK바이오사이언스의 매출 유형별 실적을 살펴보면 CDMO 등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6101.3%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위탁개발생산(CDMO) 시장의 급성장이 확인되었습니다.

 

 

6. 2025년 하반기 전망

 

성장 동력과 기대 요소

  1. 삼성바이오로직스: 2025년 매출 성장 전망치를 직전 20-25%에서 25-30%로 상향 조정하며 강한 자신감을 보이고 있습니다.
  2. 셀트리온: 하반기 신규 제품 출시를 통해 더욱 가파른 성장을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알레르기 질환 치료제 '옴리클로', 관절염 치료제 '앱토즈마' 등이 하반기 미국과 유럽 시장에 진출을 앞두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3. 전통 제약사들: 신약 개발과 글로벌 진출 확대를 통한 성장 모멘텀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주요 도전 과제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 원자재 가격 상승 압력
  • 규제 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

 

 

7. 투자자 관점에서 본 주목 기업

 

대형주 투자 포인트

  1. 삼성바이오로직스: CDMO 시장 성장과 함께 지속적인 수주 확대 기대
  2.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포트폴리오 확대와 원가 개선을 통한 수익성 향상
  3. 유한양행: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한 지속 성장 가능성

 

중소형주 성장주 포인트

  1. 파마리서치: 에스테틱 시장 성장에 따른 지속적 수혜 기대
  2. SK바이오사이언스: CDMO 사업 확장과 백신 포트폴리오 다양화
  3. HK이노엔: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과 해외 진출 확대

 

8. 제약바이오 산업의 미래 전망

 

글로벌 트렌드와 기회

 

개인 맞춤 의료(Precision Medicine)의 부상

  • 유전자 치료제와 세포 치료제 시장 확대
  •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 가속화
  • 바이오마커 기반 진단 및 치료법 발전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지속 성장

  •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특허 만료에 따른 기회 확대
  • 의료비 절감 압력으로 인한 수요 증가
  • 신흥국 시장 진출 기회 확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경쟁력

 

강점 요소

  • 세계적 수준의 CDMO 역량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생산 기술력
  • 정부의 K-바이오 육성 정책 지원

개선 과제

  •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한 R&D 투자 확대
  •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규제 대응 역량 강화
  • 인재 양성 및 확보 방안 마련

 

9. 2025년 하반기 주요 이슈와 관전 포인트

 

신약 출시 및 임상 결과 발표

 

상반기 주요 성과를 바탕으로 하반기에도 다양한 신약 출시와 임상 결과 발표가 예정되어 있어 관련 기업들의 주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셀트리온: 4개 신제품의 미국·유럽 시장 진출
  2. 유한양행: 렉라자와 리브레반트 병용요법의 FDA 승인 여부
  3. 한미약품: 글로벌 기술수출 계약 추가 체결 가능성

 

M&A 및 전략적 제휴

 

업계 재편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M&A 활동이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대기업의 바이오 벤처 인수 가속화
  • 해외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확대
  • 기술 플랫폼 기업들의 가치 상승

 

10. 투자 전략 및 리스크 관리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

 

안정성과 성장성의 균형

  • 대형주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포트폴리오의 40-50%
  • 중견 제약사 (유한양행, 종근당 등): 30-40%
  • 성장주 및 테마주: 10-20%

 

리스크 요소 및 대응 방안

 

주요 리스크

  1.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환율 변동
  2. 임상시험 실패 위험
  3. 규제 환경 변화
  4. 원자재 가격 상승

대응 방안

  • 분산 투자를 통한 리스크 분산
  • 기업의 파이프라인과 재무 건전성 면밀 검토
  • 단기 변동성에 흔들리지 않는 장기 투자 관점 유지

 


 

2025년 상반기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은 전반적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특히 바이오 기업들의 약진이 두드러졌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입증하며

'K-바이오'의 위상을 높였고, 전통 제약사들도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하반기에는 신제품 출시, 임상 결과 발표, 글로벌 진출 확대 등 다양한 성장 동력이 예상되어 업계의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됩니다.

다만,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업계 내 양극화 현상에 대한 주의깊은 관찰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투자자들은 각 기업의 고유한 성장 스토리와 리스크 요소를 면밀히 분석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특히 바이오 기업의 경우 높은 성장 잠재력과 함께 상당한 변동성을 동반하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반응형